사건, 사고
* 시작페이지로 * 즐겨찾기에 추가   편집 2023.06.02 [17:31]
제품 리뷰   업계동정   신제품   형식승인/인정
HOME > 산업/기업 > 신제품
최첨단 IOT 스마트 자동 소화기 ‘아픽스’ 스타트업
제이디 산업, 송수신이 가능한 IOT스마트 자동소화기 개발
신우현 기자

소화기의 기본적 이미지를 벗어난 최첨단 IOT 스마트 자동 소화기가 국내 최초로 개발 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최첨단 IOT 스마트 자동 소화기는 국내 최초 기술 특허를 득하고, 본격적으로 국내 생산에 들어간 스티커형 소화기로 소화기 전문 제조업체인 제이디 산업(대표: 심근보)에서 개발했다.


제이디 산업의 심근보 대표는 소방 업계의 4차 산업을 이룩하고, 소화기업계에 혁신을 가져올 IOT기술을 접목, 송수신이 가능한 IOT스마트 자동소화기를 개발했다고 밝히고 있다.


화재는 진압 보다 예방이 우선이라는 이념으로 선친에 이어 대를 이어가는 제이디 산업은 한국 최초로 배·분전반 및 콘센트 패치형 AFIX 소화기를 개발한 국내소화기 산업의 선구자적 기업이다.


이번에 개발한 IOT 스마트 자동소화기는 기존 패치형 소화기에 IOT 기술을 탑재, 부착된 패치형 소화기로서 주변의 온도 상승을 실시간 모니터링, 언제 어디서든 핸드폰으로 항상 체크하고 화재발생시 자동 소화는 물론 119로 연결되어 바로 출동 할 수 있어 귀중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 할 수 있게 되었다.


제이디 산업은 소공간 적용이 가능한 다양한 패치형 소화기 제품들을 생산·보급하고 있는 기업이다.


제이디 산업에서 생산·보급하고 있는 각종 제품들 중 콘센트형 소화기는 문어발식으로 무분별하게 사용하고 있는 콘센트에 손쉽게 붙여 설치하여 먼지나 이물질이 쌓여 발생하는 과전류로 인한 화재를 초기에 지압하여 화재 확산을 예방할 수 있는 제품 이다.


▲ 콘센트형 소화기    

 

또한, ·분전반(일명 두꺼비집)이 설치된 가정이나 상가, 공장에 화재가 날 경우 초기화재 진압 할 수 있는 제품으로, ·분전반에 붙이는 패치형 소화기도 완전 국산화에 성공하여 양산체계를 갖추고 있다.


패치형 소화기는 누구나 쉽게 구매 설치가 가능한 제품으로 화재로부터 생명과 재산을 보호 할 수 있는 최소한의 제품이다.


미국, 유럽, 중국, 일본, 대만, 호주 등 외국 기업들의 상담 문의가 쇄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기사입력: 2018/09/12 [09:51]  최종편집: ⓒ safekoreanews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기사목록
[스마트 자동 소화기 ] 최첨단 IOT 스마트 자동 소화기 ‘아픽스’ 스타트업 신우현 기자 2018/09/12/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가장 많이 본 기사  
소방청, 대용량 포 방사시스템 활용 여름철 폭우 선제적 대비 / 장택승 기자
2023 코리아가든쇼, 당선작 6개 작품 공개 / 세이프코리아뉴스
전라북도 소방공무원 구급대원 대체인력 채용 / 전북 황선경 기자
과기부 우정사업본부장 등 정부 9개 개방형 직위 채용 / 박찬우 기자
화재보험협회·삼성화재 공동 실물 화재실험 수행 / 세이프코리아뉴스
소방청, 승강기사고 대응역량 강화대책 추진 / 장택승 기자
소방청, 소방활동 안전 실천 강화 슬로건 공모 / 장택승 기자
한울에너지팜, 재개관 후 1년 5개월 만에 방문객 5만 명 달성 / 장택승 기자
6월의 수산물, 어촌여행지, 해양생물, 등대, 해양유물, 무인도서 선정 / 세이프코리아뉴스
소방시설 점검 결과보고서 제출기간 개선한다 / 박찬우 기자
개인정보보호정책청소년보호정책함께하는사람들광고/제휴안내기사제보보도자료기사검색
강원도 양양군 양양읍 서면 남대천로 208(용천리) 세이프코리아뉴스 ㅣ 대표전화 : 1577-5110
사업자등록번호 209-12-45723 ㅣ 등록번호 : 강원, 아 00272 ㅣ 등록일 : 2008년 4월 21일 ㅣ 발행겸 편집인 : 박찬우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찬우
Copyright ⓒ 2008 SafeKorea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master for more information.